본문 바로가기
RF/COMMON

Thermal Noise(열잡음) 이란?

by 꼬북킹 2024. 3. 20.
반응형

SNR, Noise Figure, Sensitivity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Thermal Noise(열 잡음)을 간략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열 잡음(Thermal Noise)란?

 모든 물질은 절대온도 0K보다 높은 온도에선 전자가 무작위 열 운동을 하게 되고,

이 무작위 열 운동은 아주 작지만 측정 가능한 수준의 전력을 만들어 냅니다.

이것이 바로 Thermal Noise(열 잡음)입니다.

Johnson-Nyquist Noise라고도 하지요.

그리고 이 Thermal Noise는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일정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White Noise라고도 부릅니다.

Thermal Noise는 절대온도 0K(-273.15°C)가 아닌 이상 제거 불가능한 노이즈입니다.

이 말은 Thermal Noise보다 작은 크기의 신호는 어떻게 하더라도 수신기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2. Thermal Noise Voltage & Power

Thermal Noise Voltage는 아래와 같습니다.

⦁ k : Boltzmann 상수 (-1.38 X 10-23 J/K)

⦁ T : 절대 온도 (K)

⦁ B : Bandwidth (Hz)

 

이때의 등가회로는 [그림1]과 같습니다.

[그림1] Thermal Noise 등가회로

출처 : https://ttistoryy.tistory.com/

 

최대 전력이 생성되는 경우는 [그림2]처럼 Load단에 RS와 동일한 크기의 저항이 달렸을 때입니다.

[그림2] Thermal Noise 등가회로

출처 : https://ttistoryy.tistory.com/

 

Thermal Noise로 인한 최대 전력인 kTB가 됩니다.

k는 상수이으로 오로지 온도와 Bandwidth에 의해 Noise Power가 결정됩니다.

즉, 주파수와 저항값에는 무관하게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Thermal Noise는 전 주파수 대역 걸쳐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3. Thermal Noise PSD(Power Spectral Density)

Thermal Noise의 Power를 Bandwidth로 나누면 PSD(Power Spectral Density)이며,

그 값은 kT입니다.

 

IEEE의 표준 정의에 따르면 상온 기준 온도 T0는 290K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290K는 16.85°C로 초가을 기온 정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화학에서는 25°C, 물리학에서는 300K(26.85 °C), 기상학에서는 15°C를 상온으로 사용합니다.)

 

자 그럼 상온에서의 PSD는 얼마일까요?

 

위 식에서 kT0 뒤에 103을 곱한 이유는 W를 mW로 변환하기 위해서입니다.

상온 T0(290K)에서의 PSD는 -174dBm/Hz를 입니다.

 

4. Bandwidth에 따른 Thermal Noise Power

 상온 T0(290K)에서 각각 Bandwidth별로 가지는 Thermal Noise Power는 [표1]과 같습니다.

Bandwidth가 넓을수록 Thermal Noise Power가 높아집니다.

[표1] Bandwidth에 따른 Thermal Noise Power

 

수신기에서 Thermal Noise보다 작은 크기의 신호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Bandwidth가 넓을수록 수신기의 Max Rx Sensitivity가 안 좋아지는 이유가 바로

Bandwidth가 넓을수록 Thermal Noise Power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아래 [표2]처럼 3gpp LTE 스펙을 보시면, BW가 넓어질수록 Reference Sensitivty의 스펙이 낮아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표2] Reference Sensitivity by Band and Bandwidth in LTE

출처 : ETS TS 136 101 V17.10.0(2023-07)

 

5. 온도에 따른 Thermal Noise PSD

 그럼 온도별 PSD값은 어떻게 될까요?

[표3]을 보시면 아실 수 있는 것처럼 -33°C에서 -174.8dBm/Hz, 42°C에서 -173.6dBm/Hz 수준으로

한국에서의 최저, 최고 기온일 때의 Thermal Noise PSD 차이는 고작 1.2dB 밖에 안됩니다.

절대온도 0K(-273.15°C)에 아주 가까운 수진이 아닌 이상온도에 따른 Thermal Noise 차이가 그리 크진 않다는 뜻입니다. 전파 망원경 수신기와 같이 민감한 전자 장비는 Thermal Noise를 줄이기 위해 극 저온으로 냉각하기도 합니다.

[표3] 온도에 따른 Thermal Noise PSD

 

6. 결론

- 절대온도 0K을 초과하는 온도에선 모든 물체는 열 에너지를 가지며, 이로 인한 Noise를 Thermal Noise라고 합니다.

- Thermal Noise는 절대온도 0K이 아닌 이상 제거 불가능한 Noise입니다.

- Thermal Noise Power는 kTB로 오직 온도와 Bandwidth에만 영향을 받습니다.

- 따라서 전 주파수 대역에 동일한 kTB의 Noise를 가집니다.

- Theraml Noise는 Bandwidth와 온도가 클수록 높습니다.

 

 

 

 

 

 

 

반응형

'RF > COMM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ise Figure(잡음 지수) 란?  (4) 2024.08.09
SNR(신호대잡음비) 란?  (0) 2024.05.02
Resolution Bandwidth (RBW) 란?  (0) 2024.03.04
Spectrum Emission Mask (SEM) 란?  (0) 2024.01.17
Output RF spectrum emission (ORFS) 란?  (1) 2024.01.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