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품질을 평가하는 항목으로 SNR이 있습니다.
이 SNR은 Signal-to-noise ratio의 약어로 S/N으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한글 번역 그대로 노이즈 전력 대비 신호 전력 세기 비율을 의미합니다.
1. SNR 계산
앞서 말씀드린 대로 SNR은 노이즈 전력 대비 신호 전력 세기 비율입니다.
이 비율을 dB로 바꾸게 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서 Signal과 Noise 신호를 전력 Watt가 아닌 전압 V로 표기할 경우 아래와 같이 20log를 취하게 됩니다.
자, [그림1]과 같이 Spectrum analyzer에 찍힌 신호가 아래와 같다고 해봅시다.
Noise Power는 -90dBm, Signal Power가 -60dBm인 경우 SNR는 30dB 입니다.
[그림1] Noise Floor, Signal 그리고 SNR
출처 : https://ttistoryy.tistory.com/
2. SNR이 가지는 의미
SNR은 노이즈 전력 대비 신호 전력 세기의 비율입니다.
1) SNR < 1 (SNRdB < 0dB)의 경우
신호의 전력이 노이즈 전력보다 작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신호가 노이즈에 파묻혀 신뢰성 있는 통신이 불가능하며,
신호 레벨을 높이거나 노이즈 레벨을 낮추어 신호가 노이즈대비 구분 가능한 상황인
Psignal>Pnoise (SNR>1, SNRdB>0dB)로 만들어야 합니다.
2) SNR > 1 (SNRdB > 1dB)인 경우
신호 전력이 노이즈 전력보다 크다는 뜻입니다.
SNR이 높을수록 신호가 명확하고 검출이 쉽습니다.
반면 SNR이 낮아질수록 원하는 신호와 노이즈를 구분하기 어려워져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낮은 SNR에서 Signal에 실린 데이터가 유실되어 재전송되는 과정에서
Throughput아 감소하고 Latency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SNR의 활용
- 신호 품질을 평가하는 항목의 하나로 사용됩니다.
- Noise Factor (Noise Figure) 계산 시 input 단 SNR과 output 단 SNR을 이용한다.
- Shannon_Hartley 이론에서 아래와 같이 SNR값을 이용하여 Channel capacity(=Data rate)가 계산되고,
이를 베이스로 전체적 설계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 SNR은 노이즈 전력 대비 신호 전력 세기의 비율이다,.
- SNR은 높을수록 신호 품질이 좋다.
'RF > COMM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ise Figure(잡음 지수) 란? (4) | 2024.08.09 |
---|---|
Thermal Noise(열잡음) 이란? (0) | 2024.03.20 |
Resolution Bandwidth (RBW) 란? (0) | 2024.03.04 |
Spectrum Emission Mask (SEM) 란? (0) | 2024.01.17 |
Output RF spectrum emission (ORFS) 란? (1) | 2024.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