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음 지수(Noise Figure)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SNR과 Thermal Noise에 관한 포스팅 먼저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Thermal Noise(열잡음) : https://ttistoryy.tistory.com/40
- SNR(신호대잡음비) : https://ttistoryy.tistory.com/41
수신기의 노이즈를 판단하는 요소로 SNR과 Noise Figure(이후 NF)가 있습니다.
NF의 경우 특정 부품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반적인 설계시에도 사용되는 파라미터입니다.
1. Noise Figure의 정의
[그림1]과 같이 'A'라는 부품이 있다고 해봅시다.
이 부품의 입력단의 SNRin과 이 부품의 출력단의 SNRout값이 있습니다.
[그림1] 부품A의 SNRin과 SNRout/span>
출처 : https://ttistoryy.tistory.com/
이 출력단의 SNRout 대 입력단의 SNRin 비율이 바로 Noise Factor(F)입니다.
Linear로 표현된 값이죠.
Noise Factor(F)를 dB로 표현하게되면 아래와 같이 Noise Figure(NF)가 됩니다.
NF는 부품 또는 시스템을 거치면서 신호 품질(SNR)이 얼마나 안좋아 졌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2. Thermal Noise
그런데 input단 Noise가 아예 없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의구심이 들 수 있습니다.
모든 물체는 절대온도 0K (-273.15 °C )를 넘은 온도에선 전자의 무작위적인 열 운동으로 인해
Thermal Noise가 발생합니다.
즉, 절대온도 0K가 아닌 이상 모든 시스템에서 무조건 노이즈로 kTB 크기를 가지는
Thermal Noise Power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 k : Boltzmann 상수 (-1.38 X 10-23 J/K)
⦁ T : 절대 온도 (K)
⦁ B : Bandwidth (Hz)
Thermal Noise 관련하여 하기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 Thermal Noise(열잡음) : https://ttistoryy.tistory.com/40
3. Noise Figure 계산 예시
1) 이상적인 Amplifier
Gain이 10dB인 이상적인 Amplifier(증폭기)가 있다고 해봅시다.
이때 시스템 Bandwidth는 10MHz이고 Sin,dBm은 -80dBm이라고 가정해봅시다.
Nin,dBm의 경우 Thermal Noise로 kTB이므로 계산시 -104dBm입니다.
즉 input단에 Sin,dBm -80dBm, Nin,dBm -104dBm이 입력되고,
Output단에 Sout,dBm -70dBm과 Nout,dBm -94dBm이 출력되었습니다.
[그림2] 이상적인 Amplifier의 Input, Output SNR
출처 : https://ttistoryy.tistory.com/
그리고 Noise Figure는 0, Noise Factor는 1이되죠.
그리고 Noise Figure는 0, Noise Factor는 1이 되죠.
즉, 이상적인 Amplifier는 NF가 0dB (F는 1)을 가집니다.
2) 실제 Amplifier
실제 Amplifier는 Nin을 Gain만큼 증폭 시키는 것 이외에 추가적인 Noise (Na)가 발생합니다.
아래와 같이 Gain이 10dB인 이상적이지 않은 실제 Amplifier가 있고 시스템 Bandwidth는 10MHz라고 해봅시다.
앞서본 이상적인 Amplifier 대비 달라진것은 Nout이 3dB 가량 증가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추가적인 Noise(Na) 때문입니다.
[그림3] 실제 Amplifier의 Input, Output SNR
출처 : https://ttistoryy.tistory.com/
이때, SNRin,dB = 24dB, SNRout,dB = 21dB가 되고,
NF은 3dB, F는 2가 됩니다.
이처럼 실제 NF는 0dB보다 작을수 없으며, F는 1보다 작을 수 없습니다.
NF가 작을수록 단말 내부의 노이즈 유입이 적다는 뜻이니 NF는 작을수록 좋습니다.
그럼 이때 추가적으로 유입된 노이즈(Na)의 크기는 어떻게 될까요?
자 Gain이 G일때 Noise Factor(F)는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서 Ni는 Thermal Noise kT0B 이죠.
Na 기준으로 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를 dBm으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Gain 3dB는 Linear론 2입니다.
mW->dBm으로 변환하기 위해 W 단위인 kTB에 1000을 곱해 1000kTB mW로 바꿔줍니다.)
다른 방법으론 Nout에서 G*Nin값을 빼도 됩니다.
3) Attenuator (감쇠기)
전 주파수 대역에 대해 3dB 감쇠시키는 감쇠기가 있다고 해봅시다.
이번에도 시스템 Bandwidth는 10MHz이며 Sin은 -80dBm이라고 가정해봅시다.
Nin도 kTB이므로 -104dBm입니다.
Sout의 경우 Sin -80dBm에서 3dB 감쇠되어 -83dBm이 되었지만
Nout의 경우엔 -104dBm에서 3dB 감쇠돈 -107dBm이 아닌,
여전히 Nin과 같은 -104dBm입니다.
왜냐면 Thermal Noise는 어느곳이든 -104dBm(10MHz BW 기준)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림4] Attenuation의 Input, Output SNR
출처 : https://ttistoryy.tistory.com/
따라서 SNR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결국 감쇠기에선 감쇠되는 3dB가 NF 크기가 됩니다.
4) Cascade Noise Figure
앞에서 말슴드린 Gain 10dB, NF가 3dB인 Amplifier가 3개 Cascade로 연결되어 있다고 해봅시다.
Sin은 동일하게 -80dBm이며 Bandwidth도 10MHz라고 하겠습니다.
Cascade에선 계산 편의를 위해 Noise Figure(NF)가 아닌 Noise Factor(F)를 사용하겠습니다.
① 첫번째 Amplifier 출력단 신호 크기
② 두번째 Amplifier 출력단 신호 크기
③ 세번째 Amplifier 출력단 신호 크기
최종적으로 3단 Amplifier의 Noise Factor(F)와 Noise Figure(NF)는 아래와 같습니다.
N단 Cascade Amplifier의 Noise Factor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식을 보시면 Noise Factor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Factor는 F1입니다.
따라서 첫번째 Amplifier는 Noise Factor가 작은 부품을 배치하는 중요하겠습니다.
4. 결론
- 수신기의 노이즈를 판단하는 요소로 Noise Figure가 있습니다.
- Noise Figure는 SNRout 대비 SNRin 비율입니다..
- 이상적인 Noise Figure는 0dB (Noise Factor는 1)이며, 이보다 작을 순 없습니다.
- Noise Figure값은 작으면 작을수록 좋습니다.
'RF > COMM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R(신호대잡음비) 란? (0) | 2024.05.02 |
---|---|
Thermal Noise(열잡음) 이란? (0) | 2024.03.20 |
Resolution Bandwidth (RBW) 란? (0) | 2024.03.04 |
Spectrum Emission Mask (SEM) 란? (0) | 2024.01.17 |
Output RF spectrum emission (ORFS) 란? (1) | 2024.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