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8 NTC 서미스터(Thermistor) 전기적 특성 전자기기에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Thermistor를 사용합니다. Thermistor는 Thermally Sensitive Resistor의 합성어이며 뜻 그대로 온도에 민감한 저항입니다.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며 이 바뀌는 저항값을 읽은 뒤 역산하여 온도를 알아내는 것이죠. 온도 디텍팅, 온도 보상, 과열 보호 등 온도와 관계된 정보가 필요한 전자기기에는 모두 Thermistor가 실장 되어 있습니다. Thermistor는 PTC, NTC로 나눠지며, 이 중 NTC Thermist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TC vs NTC NTC 서미스터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간략하게 PTC와 NTC 서미스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TC는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값도 같이 커지지만, NTC는 온도가.. 2021. 7. 27. [21年07月19日] 회사 일에 대해서 입사 당시엔 어떤 분야가 될지 모르겠지만 "엔지니어"로써 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가 되겠다는 소명의식(?)을 가졌습니다. 나름 열심히 했지만 회사에서 주어진 일 범주 밖으로는 더 아는 것도 없고 발전하지도 못했습니다. 돌이켜보면 "회사 일"만 열심히 했던 것이죠. 회사 일을 통해 배울 것들이 물론 많았지만 7할은 프로세스 처리였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직접적인 전문 지식은 국소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일들이 익숙해지고 나서부턴 회사 일 대부분이 소모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시간은 지나는데 나는 머물러 있다는 느낌이 저를 초조하고 답답하게 만들었습니다. 초조함 조차 익숙해져서 무뎌지게 느껴질때면 진짜 내 끝이 여기까지 인가 싶더라구요. 이러한 괴로움을 유발하는 가장 큰 첫 번째 원인은 "지금 하는 일"과 ".. 2021. 7. 22. OFDM (OFDMA) 원리 및 특징 장단점 LTE의 경우 Downlink에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지원하고 있으며 5G부터는 Downlink 뿐만 아니라 Uplink에서도 OFDM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WIFI도 WIFI6(802.11ax)부터 OFDMA 방식을 통해 다중 접속을 구현하고 있는데요, 대용량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기술로 OFDM은 이제 필수 기술입니다. 자! 이제 OFDM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기존 Multi Carrier의 한계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는 제한적인데 요구되는 Data rate는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존 멀티 캐리어 방식(FDM)에서 어떻게 하면 간섭 없이 더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을까 고민하다 나온 것이 바로 Orthogonal .. 2021. 7. 9.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 전기적 특성 및 구조 이번엔 수동 소자 중 EMI 고주파 노이즈 차단용으로 사용되는 페라이트 비드 (Ferrite Bea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tructure 지금 컴퓨터 전원 케이블, HDMI, RGB 케이블 보면 그림1처럼 케이블 주위를 둘러싼 원통이 있습니다. 이게 바로 페라이트 비드입니다. (흔히 페라이트 코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아래 그림2처럼 단순하게 도선 주변을 페라이트 물질로 둘러싼 것입니다.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투과율이 높은 페라이트 내부에서 도선에 흐르는 전류로 인해 생기는 자속의 반대 방향으로 자속이 발생하면서 마치 인덕터처럼 행동합니다. SMT용 칩 형식 페라이트 비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전극길을 낸 페라이트 시트를 겹겹이 쌓아서 전극이 페라이트에 둘러싸인 것처럼 만듭니다. 2... 2021. 7. 6. LTE B28A, B28B 뭐가 다를까? 휴대폰이 지원하는 LTE 밴드들 중에 LTE Band28은 B28a나 B28b와 같이 a, b 알파벳이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B28, B28A, B28B가 뭐가 다른지 그리고 왜 이렇게 구분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위키피디아에 표기된 B28 주파수를 봅시다 2012년 6월 3GPP에서 APT700 밴드의 계획이 통합되고 Band28이 표준화 되었습니다. (FDD 방식은 Band28로 TDD 방식은 B44로 정해졌습니다.) B28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700MHz의 낮은 주파수 대역 - Uplink와 Downlink 각각 차지하고 있는 Band width는 45MHz이고 Uplink 시작 주파수 703MHz부터 Downlink 끝 주파수 803MHz까지 총 B28 차지 하는 Band width.. 2021. 6. 22. [LTE] Frame Structure Type 1 (FDD 기준) LTE는 FDD와 TDD 2개 방식으로 나눠지며, 이 중에서 FDD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GPP TS36.211 규격을 따르고 있어 해당 문서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지만, 영문에 내용이 많다 보니 핵심만 집어 요약해보겠습니다. 우선 이번 글에선 LTE FDD의 Frame Structure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드리고 다음 글에서 Downlink와 Uplink 세부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LTE의 최소 시간 단위인 TS의 시간은 TS= 1 / (15000 X 2048) = 32.6ns 입니다. (왜 최소 단위 시간 TS가 32.6ns인지 아래 말씀드리겠습니다.) 1. Frame 구조 Frame (1개 Frame 시간 = 10ms)을 시간축으로 쪼개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Frame (1.. 2021. 3. 9. 3GPP TS 문서 찾기 규격 승인받다 보면 문제가 되는 TC들이 발생하기 마련인데요, 워낙 TC가 많다 보니 모든 TC를 다 외울 수도 없어 TC의 시험 항목, 조건, 스펙에 대해 찾아보게 됩니다. 그러려면 우선 찾고자 하는 TC를 포함하는 기술규격 TS(Technical Specification) 문서를 찾게 됩니다. 예시로 TS 36.101 문서 찾는 것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3GPP 홈페이지 - www.3gpp.org/ 접속 - Specifcations 탭 선택 -> Specification Numbering 선택 - 원하는 Series 선택 (찾고자 하는 문서가 TS 36.101이므로 36 series 선택) - 찾고자 하는 TS 선택 - Versions 탭 선택 -> 원하는 Release의 ETSI 선택 - PDF.. 2021. 3. 4. 블로그 글 작성 시 유용한 사이트 ▨ 윗첨자, 아래첨자 아래첨자 윗첨자 corytips.tistory.com/65 ▨ 수식 입력 사이트 http://www.hostmath.com/ ▨ 특수 기호 °C, Ω, μ, ◦, …, ±, ∞,『 ,』 ▨ Diagram, Flowchart 그리는 사이트 https://app.diagrams.net 2021. 2. 24. 바리스터(Varistor) 전기적 특성과 활용 ESD, Surge 보호용으로 TVS Diode와 바리스터(Varistor) 많이들 사용하는데요, 이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과 활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VS Diode 관련 궁금하신 분은 아래 포스팅 참조하세요~ TVS 다이오드 전기적 특성 및 활용 (tistory.com) TVS 다이오드 전기적 특성 및 활용 ESD, Surge 보호용 소자로 TVS 다이오드(Diode)와 바리스터(Varistor)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 중 TVS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리스터 관련 포스팅은 아래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바리스터(Va ttistoryy.tistory.com 1. 바리스터란? - Variable + Resistor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전압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는 소자 이러한 특성 때.. 2021. 2. 24. RF 용어 정리 - PLL (Phase Locked Loop) : 위상 고정 루프 - PD (Phase Detector) : 두 개의 주파수신호 입력을 받아서 두 개가 얼마나 주파수/위상차가 있는지 비교 - MO Call (Mobile originated Call) :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콜 - MT Call (Mobile Terminated Call : 기지국에서 단말로 콜 - UE (User Equipment) : 유저 장비 - VCO (Voltage Controlled Osator) : 전압 제어 발진기 - RMC (Reference Measurement Channel) - RRC (Root Raise Cosine) - ACLR (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Ratio) - GRFC (G.. 2020. 9. 23. 커패시터(Capacitor)원리 및 MLCC 전기적 특성 커패시터(Capacitor)의 기본적인 용도에 대해 알아보고커패시터의 여러 종류(MLCC, Film, Tantalum, Aluminum) 중에서 MLCC의 전기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커패시터 용도1) 디커플링(Decoupling), 바이패스(Bypass)- 전원 라인 또는 신호 라인에 AC Noise를 제거하고 IC 동작을 안정시키는 역할- Shunt Ground 연결[▲그림1. Shunt Ground 연결되어 노이즈를 bypass 시키는 커패시터] 2) 교류 전압, 신호만 통과- DC는 Block하고 AC만 Pass- Series 연결[▲그림2. DC Block 역할을 하는 커패시터] 3) 인덕터와 함께 사용하여 LPF, HPF, BPF, BSF 구현- 인덕터는 저주파 대역을 통과시키고,.. 2020. 9. 13. 인덕터 특성 Inductance / Tolerance / Q / DCR / SRF / Rated Current 인덕터 특성중 주요한 SPEC ITEM으로 아래 6가지가 있습니다. 1. Inductance / 2. Tolerance / 3. Q(품질계수) / 4. DC Resistance / 5. SRF(자기공진) / 6. Rated Current 1. Inductance 1) 코일(인덕터)에 직류 전류가 흐르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이 발생한다. 이 자속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고 이때 전류i와 자속Φ의 비례계수 L이 인덕턴스이다. Φ = L i 2) 코일(인덕터)을 통과하는 자속이 변하는 경우 (ex. 자석이 다가간다 or 코일에 교류의 전류가 흐른다), 자속이 변화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유도 전류의 방향이 형성된다. (그래서 인덕터가 교류에서는 리액턴스로 방해 성질을 띈다.) 이를 렌츠의 법칙이라고 하.. 2020. 8. 29. 이전 1 2 3 4 다음